금테크는 금과 재테크의 합성어로 금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재테크를 의미합니다. 안전자산인 금에 투자를 하면 불안한 글로벌 경제상황에서 나의 자산을 금으로 바꿔서 안전하게 지킬 수 있습니다. 알아두면 득이되는 금테크 투자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금테크 투자방법
(1) 골드바 투자
골드바를 구입할때는 제조사, 순도, 중량, 보증기관 마크등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보통 순도, 중량이 미달되거나 구입시 보증서를 받지 못할 경우 골드바를 판매할때 손해를 볼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시장에서 가치를 높게 보장해주는 제조사는 LS-Nikko동제련(주)에서 제조한 골드바입니다. 은행에서 판매하는 골드바에 대부분에 해당이됩니다. 한국조폐공사에서 품질을 인증하는 오록(orodt) 골드바도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골드바중에 하나입니다.
골드바의 국제 표준 순도는 99.99%입니다. 9가 4개라는 의미로 포나인이라고도 불리며 골드바에는 999.9로 표기되어 있습니다. 골드바 구입시 중량은 1g의 차이라도 정확하게 확인하셔야하고 품질보증기관의 마크가 있는지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골드바는 실물로 갖고 있다는 점과 현금화가 좋고 매매차익에 대해 비과세되는 점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반대로 순금을 살때 부가세, 수수료등을 추가로 부담할 수 있고, 살때와는 반대로 팔때 생각보다 금액이 적을 수 있다는 점이 골드바의 단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금펀드
금펀드투자는 금에 간접투자하는 상품이며 은행, 증권사에서 계좌를 개설하여 쉽게 사고 팔 수 있는 상품입니다. 펀드는 전문가에게 맡겨 운영이되는 상품이기때문에 안정성이 있고 소액투자도 가능합니다.
다만 금값이 상승했다고해서 수익이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니고 환율에 따라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알고 계셔야합니다.
대표적인 금펀드로 KB스타골드특별자산투자신탁, 미래에셋인덱스골드특별자산자투자신탁 등이 있습니다. 사용하고 계시는 금융기관 상품을 확인해보시고 적절한 펀드상품을 찾아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금 ETF 투자
금 ETF는 금선물 가격에 따라 가격이 움직이고 금펀드와 유사하기는 하지만 주식과 같이 언제든지 매매가 가능하고 수수료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차익실현시 배당소득세 15.4%가 부과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ETF는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매매가 가능하게 만든 상품으로 현재기준으로 국내 ETF중 삼성자산운용이 운용하는 KODEX골드선물(H)ETF가 거래규모가 가장 큰 상품입니다.
기초지수는 S&P GSCI GOLD INDEX를 기준삼아 금시세를 반영하고 보수는 연 0.68%입니다.
이밖에도 TIGER 골드선물(H)상품도 잇고 운용보수는 연 0.395입니다. 금 ETF상품은 배당소득세가 부과되기 때문에 ISA 절세계좌를 통해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입니다.
안전자산 중 하나인 금에 투자하는 방법 중 가장 중요한 것은 금값의 변동에 빠르게 대응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됩니다. 금값의 시세가 어떻게 움직일지는 알 수 없지만 미국의 기준금리나 글로벌 경제등을 확인하셔서 자신만에 판단기준을 만드시고 투자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금은 단기간의 수익을 내기보다는 장기적으로 헷지개념을 가지고 여유를 가지고 투자를 결정하시길 바랍니다.
'Trend Issu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빅 쇼트 줄거리 및 결말(경제관련 필수영화) (0) | 2023.07.24 |
---|---|
리플 소송 이후 미래 전망 (0) | 2023.07.21 |
달러 환율 전망 및 투자방법 (0) | 2023.07.18 |
엔화 환율 전망 및 투자방법 알아보기 (0) | 2023.07.17 |
리플이 SEC를 상대로 한 역사적인 소송 승리 (0) | 2023.07.16 |